코드공부방

Why를 소통하는 도구, OKR 본문

자기개발/독서반

Why를 소통하는 도구, OKR

:- ) 2023. 2. 9. 06:30
반응형

Why를 소통하는 도구, OKR

지난번 그로스해킹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직군의 업무를 하게되어 선택한 책이다.

성과관리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선택한 책이며, 부끄럽게도 OKR이란 단어는 이번에 처음 들어봤는데

수많은 글로벌 기업과 국내 기업에서는 이미 도입 또는 도입 중이라고 한다.


OKR이란 Objectives와 Key Result의 합성어이다. Objective는 조직이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우리 회사에서는 이런 목적을 정할 수 있다.

"대한민국 중고차 업계 중 가장 믿을 수 있는 기업이 된다."

위 목적을 보고 많은 부서에서는 하위 목적을 정할 수도 있고, 어떤 이에게는 동기부여가 될 수도 있지만 조금만 더 들여다보면 의문이 생길 수 있다.

"믿을 수 있다는게 어떤 뜻이지?"

"가장 믿을 수 있는 기업이 되가는지 어떻게 알 수 있지?"

이렇게 Objective(목적)가 정성적인 문장이라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Key Result를 함께 설정하여 Objective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를 측정한다.

Key Result1 : 중고차 판매 후 고객 클레임율을 1년내 현재 5%에서 3%까지 낮춘다.

Key Result2 : NPS지수를 1년내 현재 93%에서 95%까지 올린다.

Key Result3 : 고객 후기 작성율을 6개월내 현재 12%에서 20%까지 올린다.

위와 같이 정량적 목표를 정해 목표를 모두 달성하면 목적을 달성했다라고 보겠다는 것이다.

굉장히 단순하게 예를 들었지만 회사의 목적부터 수많은 본부, 팀, 파트, 개인까지 Objective와 Key Result들을 정하는 작업은 생각처럼 간단하지 않다. 그럼에도 OKR은 조직을 한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으며, 자율적인 조직을 만들고 우선순위에 집중하게 도와준다.


이 책은 OKR의 정의부터 도입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실제 사례를 들며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실제 내가 몸담고 있는 회사의 환경(부서 등)과 맞지 않는 부분도 없지는 않았지만 그동안은 주어진 업무만 수행하는 실무자의 입장에서만 회사를 바라봤다면 조금 더 큰 범위에서 조직관리 및 문화, 성과관리 방법 중 하나인 OKR에 대해 간접적으로 맛볼 수 있었다.

반응형
Comments